3대가 볼 만한 공연 축제… 남원 광한루원 금요 국악공연 등
2025-04-03

영양·기능의학 전문가인 민디 펠츠가 여성의 생활 리듬에 맞춘 균형 잡힌 건강 다이어트 방법을 제시한 최신 저서 <여자×단식>을 통해 여성 단식에 관한 궁금증을 Q&A 방식으로 일러 주었다.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요약해 소개한다.
- 단식을 하면 탈모가 온다고 하던데…
“머리카락이 풍성하게 유지되려면 미네랄이 필수다. 그래서 탈모 해법 중 하나가 미네랄 보충제를 먹는 것이다. 이것이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17시간 이상의 단식을 피하면서 단식 길이에 변화를 주어야 한다. 유독성 폐기물 처리가 17시간째에 시작되기 때문이다. 이 두 조건을 따랐는데도 탈모가 계속된다면 중금속 검사가 다음이다. 납이나 수은, 탈륨 등이 세포의 미네랄 수용체 부위에 자리 잡으면 미네랄이 세포 안으로 들어가기 어렵기 때문이다. 후쿠시아 원전 사고로 인해 생선에 특히 탈륨이 많이 들어있다는 사실을 참고하는 것이 좋다.”
- 단식을 하면 너무 피로감이 든다.
“단식은 미토콘드리아를 복구하는 것이기에 처음 단식할 때 다소 피로감이 온다. 일찍 잠자리에 들거나 20분 가량 낮잠을 자거나 잠깐 앉아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 그레도 계속 기력이 없다면 신체를 최적의 상태로 만드는 적광색 요법이나 고압산소 요밥 등 이른바 ‘바이오해킹’ 도구들에 의지하는 것도 방법이다. 단식으로 인한 피로가 몇 주간 지속된다면 해독이 필요한 순간이라고 생각하면 도움이 된다.”
- 복용하는 약이 있다면 중단해야 하나.
“모든 약은 단식 기간에 각기 다른 반응을 일으킨다. 따라서 지병이 있어 약을 복용 중이라면 단식을 결정하기 전에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우선이다. 예를 들어 갑상샘 약은 단식 기간 중 심박수를 늘리거나 독성 발작을 경험하는 것처럼 느껴지게 할 때가 있다.”
- 단식하는 동안 보충제는 먹어도 괜찮은가.
“그렇다. 다만 공복에 먹었는데 속이 쓰리다면 섭식 중에 먹기를 권한다. 비타민B 보충제가 그런 경우가 있다. 하지만 3일의 물 단식 기간이라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긴 단식 기간 동안 보충제를 복용하면 단식으로 인한 자유반응에 변화가 일어날 수도 있다. 특히 단식의 주된 목적 중 하나는 몸이 스스로를 치유토록 하는 것인데, 단식 중에는 외부에서 영양소를 공급받는 것이 이 과정을 방해할 수 있다.”
- 목표한 단식 기간을 채우지 못하면 실패한 다이어트인가.
“실패한 다이어트란 없다. 지난 날은 잊고 다음 날 새롭게 시작하면 된다. 단식을 할 때마다 점점 쉬워진다는 사실도 기억하라. 단식은 마라톤과 같다. 조금 씩 달리는 거리를 늘려가면서 우리 몸을 더 강하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 단식을 하면 왜 잠이 잘 오지 않는가.
“24시간 이상 단식을 하면 잠을 자는 시간이 전보다 줄어드는 경험을 하는 여성들이 있다. 처음에는 불안하게 느껴지겠지만 모두 치유상태라고 보면 된다. 우리 몸은 잠을 자면서 회복되는데, 24시간 주기에 단식을 추가하면 깨어 있는 동안에도 회복 상태에 있게 된다. 그래서 우리 몸이 잠이 덜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 단식과 함께 통증이 느껴지는 사람도 있다.
“특히 3일 물 단식을 하는 사람들에게서 더 흔하게 관찰되는 것이 ‘야간 통증’이다. 골반과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여성들이 있다. 이럴 경우 통증을 완화하려면 잠자리에 들기 전에 마그네슘을 복용해 근육을 이완시키거나, 로션이나 팅크(알코올에 혼합해 약제로 쓰는 물질) 형태의 CBD 보충제를 통증 부위에 바르면 효과가 있다.”
- 단식하는 동안 운동을 해도 괜찮은가.
“짧은 단식 기간 동안 하는 운동은 체중 감량에 유용할 수 있다. 단식 중에 운동을 하면 대사가 빨리 진행되어, 지방을 태워 혈액으로 보내진다. 운동 후 단백질로 단식을 깨면 근육질 몸매를 만들 수도 있다. 하지만 3일 동안의 물 단식 중에는 운동을 파할 것을 권한다. 우리 몸이 전체적인 치유를 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장기간 단식을 할 때는 운동을 중단하는 것이 좋다.”
- 임신과 수유 중에 단식을 해도 괜찮은지 궁금하다.
“임신 중에는 절대 단식을 해선 안된다. 당신은 물론이고 아이에게까지 영양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는 음식이 약이다.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을 강화하고 아기에게 이를 전달할 수 있는 식품에 의지해야 한다. 임신 기간 중에는 해독을 피해야 하기 때문에 단식이 더더욱 좋지 않다. 단식으로 해독 작용이 이뤄지면 독소가 혈류로 방출되어 아기에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유 때도 마찬가지다.”
- 당뇨병을 앓고 있는데 단식을 해도 되나.
“제1형 당뇨와 제2형 당뇨 모두 단식으로 큰 혜택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당뇨가 심각한 상태라면 의사와 먼저 상의해 보길 바란다. 반드시 혈당을 계속 관찰하고 의사의 감독 아래 단식을 하길 바란다.”
- 섭식 장애가 있는데 단식이 가능할까.
“단식 전에 의사와 의논부터 하는 것이 좋다. 단식 라이프스타일이 정신적으로 위험한 경로에 이르고 있다는 몇 가지 경고 사인이 있다. 먼저, 칼로리 제한에 집중하기 시작하는 때이다. 섭식 시간에는 양질의 음식을 충분히 먹어야 한다. 다음은, 단식을 끼니를 거르기 위한 변명으로 사용하는 때이다. 마지막으로, 지나치게 단식을 깨는 것에 수치심이나 실패감을 느끼기 시작할 때이다.”
[참고]
* 여자×단식. Fast like a girl. 민디 펠츠. 2024. 북드림.
박성훈 기자 shpark@viva2080.com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