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파구, 4월 2~6일 석촌호수에서 ‘벚꽃 축제’ 펼친다
2025-04-02

당뇨합병증에는 급성과 만성 두 종류가 있다. 급성 합병증은 혈당 조절이 안되는 환자가 수분이 결핍되어 자주 발생한다. 만성 합병증은 미세혈관과 대혈관에 문제가 생겨 장기적으로 이상 증상을 불로 온다. 둘 모두 고혈당이 지속되어 생기는 병이다. '죽음에 이르는 병'이라는 당뇨 합병증에 관해 알아본다.
- 당뇨 급성 합병증은 언제 자주 발생하나.
“급성 합병증은 당뇨병성 케톤산증(DKA)과 고혈당성 고삼투압 증후군(HHS) 두 부류로 나뉜다. 당뇨병성 케톤산증은 65세 이하, 1형 당뇨병환자에게서 자주 발생하는 구토나 복통, 의식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평균혈당은 250~600㎎/dl이다. 심한 경우엔 의식을 잃고 뇌부종에 이르러 사망하는 경우도 생긴다. 수분 부족은 수액 공급으로, 고혈당은 인슐린 투여로 해결한다. 고햘당성 고삼투압 증후군은 65세 이상 고령의 2형 당뇨병 환자에게 나타난다. 서서히 진행되지만 구강 건조가 심해지고 피부 탄력 감소, 안무 함몰, 빈맥 등 탈수 현상이 나타난다. 심하면 의식장애와 경련 증상이 동반된다. 체내 수분을 빠르게 보충하는 것이 필수다.”
- 만성 합병증에는 어떤 것 들이 있나.
“미세혈관 합병증과 대혈관 합병증이 있다. 전자는 망막병증, 콩팥병증, 말초신경병증으로 나눌 수 있고 후자는 관상동맥(심장혈관), 뇌혈관, 말초혈관 질환이 있다. 모두 시작은 지속적인 고혈당이다. 당분이 혈관 벽에 늘어 붙어 내피세포가 제 가능을 못하게 하고, 세포 내 증가된 혈당이 조직에 쌓이면서 돌이킬 수 없는 조직손상이 생긴다. 이 때 ‘솔비톨’이라는 독성 성분이 생겨 세포를 파괴하고 혈관을 막는다. 고혈당의 합병증으로 동맥경화가 나타나면 혈액공급이 원활치 못해져 상처도 제대로 아물지 못하게 되고, 결국 궤양이나 감염이 빈번해지면서 당뇨발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당뇨는 이런 여러 합병증 때문에 전신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무서운 병이다.”
- 당뇨 때문에 실명(失明)을 할 수도 있다고 하던데….
“당뇨병 환자는 일반인에 비해 실명 위험이 25배나 높다. 당뇨병성 망막병증이 생기면 실명이 올 수 있다. 당뇨가 악화될수록 눈 안쪽의 미세한 얇은 모세혈관부터 막히기 때문이다. 당뇨병 진단 환자 가운데 20% 정도가 망막병증이 함께 진단된다. 당뇨병 진단 후 20년 후에는 최대 80% 환자에게서 발생한다. 문제는 이런 증상을 환자들은 잘 모른다는 점이다. 병이 상당히 진행돼도 통증도 없기 때문에 현재로선 정기적으로 안저 검사를 받는 것이 한 방법이다. 망막병증 외에도 백내장이 올 수도 있다. 비당뇨인에 비해 발생률이 5배 정도나 높다. 녹내장 발생 빈도도 높아질 수도 있으니 평소 눈 건강 관리에도 유의해야 한다.”
- 신부전도 당뇨병 때문에 생기는 합병증인가.
“신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 가운데 하나가 당뇨병이다. 전체 당뇨병 환자의 3분의 1 가량이 만성 콩팥병증을 경험한다고 한다. 당뇨병 환자 장애 및 사망의 주된 원인도 콩팥병증이다. 콩팥은 아주 작은 모세혈관이 엉킨 사구체 100만 개 씩으로 구성되는데 이 모세혈관이 당뇨 때문에 손상되면 단백질을 걸러내지 못해 콩팥병증이 생긴다. 노폐물이 쌓이고 알부민 등 필수 단백질이 빠져나가면 생명을 위협받게 되어 결국 투석까지 가게 된다. 고혈당이 심할 때 이런 상황이 온다. 하지만 말기에 이를 때까지 거의 증상이 없기 때문에 1년에 한번 정기 검진을 통해 소변검사와 혈액 검사, 콩팥 초음파 등을 점검해야 한다.”
- 여타 당뇨 합병증은 어떤 것 들이 있나.
“가장 흔한 당뇨 합병증은 손발 저림 같은 당뇨병성 신경병증이다. 점점 유병률이 떨어지는 하지만 지금도 전체 당뇨병 환자의 25~30% 수준이다. 당뇨병 진단을 받는 시점부터 이미 열 명 중 한 명 가량은 신경병증을 진단받는다. 말초신경병증은 신경으로 영양을 공급하던 혈관이 고혈당으로 인해 좁아지거나 손상되기 때문이다. 무중인 경우가 많아 나중에 발을 절단하는 경우도 생긴다. 소화불량이나 변비도 당뇨 합병증이다. 이들 역시 신경병증의 하나다.”
[참고]
* <당뇨에 대해 가장 알고 싶은 최다질문 82>. 김지은. 2025. 초록북스.
* <평생관리 NO! 당뇨, 졸업해야 합니다> 이혜민. 2025. 북아지트
* <당뇨병 완치 백과> 황종찬. 2024. 태을출판사
박성훈 기자 shpark@viva2080.com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