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노후준비 A부터 Z까지 (2)개인연금⑦ 절세혜택

이의현 기자 2025-03-20 08:29:27
클립아트코리아. 기사 및 보도와 연관없음.

개인연금에 가입하면 세액공제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세제 적격·비적격 연금 상품들이 있으니 잘 살펴보고 가입해야 한다. 연금보험과 연금저축보험의 차이를 잘 몰라 혜택을 받지 못하는 가입자들도 있다. 

- 개인연금에 가입하면 소득공제를 많이 받을 수 있다고 들었다.

“개인연금 상품은 저축 금액을 소득공제나 세액공제해 주는 ‘세제적격’ 연금 상품, 그런 혜택이 없는 ‘세제 비적격’ 연금 상품으로 나뉜다. 소득공제란 저축 금액을 가입자의 소득에 빼주는 것을 말한다. 소득이 줄어들면 납부하는 세금도 줄어들게 된다. 소득공제 혜택을 주는 상품으로는 (구)개인연금이 있다. 1994년 7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판매되어 지금은 신규 가입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이미 가입한 사람은 계속 저축하면서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분기당 300만 원을 저축할 수 있다. 저축 금액의 40%, 한 해 최대 72만 원을 소득공제 받을 수 있다.”

- 세액공제 혜택은 어느 정도인가.

“과세 대상 소득을 줄여 주는 소득공제에 반해 세액 공제는 결정된 세금 중 일부를 감면해 준다. 세액공제 혜택을 주는 연금 상품으로는 연금저축과 IRP가 있다. 연금저축만 가입했다면 연간 600만 원까지, 연금저축과 IRP를 합산하면 연간 900만 원까지 저축 금액을 세액공제 받을 수 있다. 세액공제율은 소득에 따라 다르다. 한 해 종합소득이 4500만 원(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총급여 5500만) 이하인 가입자는 세액공제 대상 금액의 16.5%(지방소득세 포함)에 해당하는 세금을 공제 받을 수 있다. 기준보다 소득이 많으면 세액공제 대상 금액의 13.2%에 해당하는 세금을 환급받을 수 있다.”

- 연금보험과 연금저축보험은 무엇이 다르고 세금 이슈는 어떻게 되나.

“둘은 이름은 비슷하지만 가입자가 받을 수 있는 세제 혜택에는 큰 차이가 있다. 연금저축보험의 경우 세제 적격 개인연금 상품이다. 연금저축은 운용 주체에 따라 보험사가 운용하는 연금저축보험, 은행에서 운용하는 연금저축신탁, 자산운용사가 운용하는 연금저축펀드로 나뉜다. 반면에 연금보험 가입자는 저축 금액에 대해 소득공제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저축할 때 세제 혜택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제 비적격 연금이라고 한다. 그렇다고 세제 혜택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일정한 요건을 갖추면 연금을 수령할 때 소득세를 부과하지 않는다.”

- 연금보험의 비과세 요건은 어떤 것 들이 있나.

“보험료 납입 방식과 연금수령 방법에 따라 다르다. 일시납 연금보험은 보험료가 1억 원 이하이고, 10년 이상 유지하면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월 적립식 연금보험은 매달 납입하는 보험료가 150만 원 이하여야 한다. 또 5년 이상 보험료를 납입하고 10년 이상 유지하면 연금수령액에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다. 종신형 연금보험은 일정 조건을 갖추면 한도 없이 비과세를 받을 수 있다. 보험료 납입 완료 후 55세 이후부터 사망 시까지 연금을 지급받으며, 연금 지급 보증 기간을 기대 여명 이내로 정하고, 계약자와 피보험자 및 수익자가 동일해야 하고, 사망할 때 연금재원이 남아 있지 않아야 한다.”

[참고]

* <퇴직한 다음날 궁금한 50가지> 김동엽 외. 2024.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이의현 기자 yhlee@viva2080.com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