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직업능력연구원 “신기술·신산업 분야 박사급 고급인재 수요 더 증가할 것”

국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의 특성 및 일자리 변화 분석
박성훈 기자 2025-04-03 09:52:10
전공계열별 학업전념 박사의 상용근로자 비율. 출처=한국직업능력연구원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고혜원)이 3월 31일자 계간지의 통계 브리프 ‘국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의 특성 및 일자리 변화’ 보고서를 통해 “신기술·신산업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분야를 중심으로 박사급 고급인재에 대한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조사는 국내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신규 취득한 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내 신규박사학위 취득자 실태조사’ 가운데 2021년부터 2024까지 최근 4년간의 원시자료 졸업자 총 4만 5561명을 분석해 이뤄졌다. 

직능원은 “주요 분석 결과,  최근 4년간 국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의 개인 특성 변화를 살펴보면, 외국인 박사학위 취득자의 비율 증가와 이에 따른 학업전념 박사 비율의 증가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외국인 박사학위 취득자의 비율은 2021년 14.3%에서 2024년 23.9%로 크게 올랐다. 내국인에 비해 직장 병행이 어려운 특성상 외국인 박사의 비율 증가는 학업전념 박사 비율의 증가를 이끌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공계열별 학업전념 박사의 정규직 근로자 비율. 출처=한국직업능력연구원

학업전념 박사의 전공계열별 상용근로자 비율을 살펴보면, STEM 전공을 다수 포함하고 있는 자연과학·수학 및 통계학(64.0%), 정보통신기술(78.2%), 공학, 제조 및 건설(70.7%) 전공계열에서 상용근로자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교육(42.2%), 서비스(45.4%), 예술 및 인문학(45.8%) 전공계열의 상용근로자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학업전념 박사의 전공 계열별 정규직 근로자 비율은 상용근로자 비율의 경우와 비슷하게 자연과학·수학 및 통계학(39.6%), 정보통신기술(61.5%), 공학, 제조 및 건설(56.6%) 전공 계열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예술 및 인문학(18.5%), 교육(23.3%) 전공 계열에서 정규직 근로자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장광남 장광남 부연구위원은 “신기술·신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박사급 고급인재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국내 대학 졸업자 대비 국내 박사학위 취득자의 비율 역시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국가 간 고급인재 확보를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박사급 고급인재 양성과 활용 관련 데이터를 축적하고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향후 고급인재 양성과 확보 및 활용에 관한 차별화된 정책 마련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박성훈 기자 shpark@viva2080.com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