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븐 스플릿' 전략으로 달러 투자 좀 해 볼까요

<달러 투자 무작정 따라하기> 박성현 작가의 달러 성공 투자의 7가지 원칙
박성훈 기자 2025-09-09 08:02:41
클립아트코리아. 기사 및 보도와 연과 없음.

분할 매수, 분할 매도 전략을 ‘세븐 스플릿’이라고 부른다. 여러 개의 계정을 활용해 포트폴리오를 분할하는 전략을 말한다. 1개의 계좌에서 여러 개 다른 종목, 혹은 여러 차례에 나눠 분할 매수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달러 투자에 특히 유용한 투자 전략으로 알려져 있다. 변동성은 낮지만 매수, 매도가 잦은 투자 패턴 상 이에 최적화된 투자 전략으로 인정된다. 

<달러 투자 무작정 따라하기>를 쓴 박성현 작가는 근로소득만으로 부동산과 달러, 주식 등에 투자해 100억 대 자산을 불린 투자가로 유명하다. 달러로 수익을 내는 투자법을 국내 최초로 소개한 그는 앞서 <나는 주식 대신 달러를 산다>라는 베스트셀러 작가로도 유명하다. 그가 원금을 잃지 않고 안전하게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세븐 스플릿의 7가지 원칙’을 제시해 주목된다.

첫 번째 원칙은 ‘레버리지를 절대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은행에서 빌린 돈이든, 일정한 기간만 사용할 수 있는 돈이든, 달러를 매수했던 돈을 상환하거나 사용해야 하는 일이 생기면 손익의 확정 권한이 내가 아닌 남에게 있다고 할 수 있다고 했다.

두 번째 원칙은 ‘손절매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원/달러 환율은 하방이 닫혀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손절매를 통해 손실을 최소화하는 전략은 수익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달러를 매수한 평단가보다 환율이 계속 하향하는 추세여서 수익실현이 어렵다면, 달러 정기예금에 넣어두거나 미국 월 배당 ETF 등에 투자하는 방법도 고려할 만 하다고 했다.

세 번째 원칙은, 최소 매수하는 달러의 가격은 52주 데이터에 의한 ‘투자를 시작해도 좋은 상황’에 따라 정한다는 것이다. 원/달러 환율은 중간가격이라고 할 수 있는 1200원 이하일 때만 달러를 매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좀더 안전한 달러 투자를 위해서는 원/달러 환율의 중간가, 달러 지수, 달러 갭 비율을 이용한 52주 데이터들을 참고할 것을 권했다.

네 번째 원칙은 ‘최초 매수하는 달러의 투자 규모를 총 투자규모의 5%가 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이다. 환율에 따라 같은 금액이라도 매수할 수 있는 달러의 크기가 달라지므로 원화를 기준으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다. 횟수보다는 1회 투자금의 규모가 더 중요하다고 했다. 총 투자금이 1000만 원이라면 투자규모는 50만 원이고 투자횟수는 총 20회가 된다.

다섯 번째 원칙은 ‘추가 매수 시 투자 규모를 이전과 동일하게 한다’는 것이다. 추가 투자규모를 늘리게 되면 매수 평단가는 낮출 수 있겠지만, 그 만큼 투자금도 빠르게 소진될 수 있어 제대로 된 분할매수를 할 수 없게 된다. 특히 매수 평단가를 낮추려는 추가 매수(물타기)를 통한 투자금액 증가는 곧 리스크 증가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여섯 번째 원칙은 ‘추가 매수는 이전에 매수한 원/달러 환율보다 3원 이상 하락했을 때 한다’이다. 수익 실현의 기회도 늘리면서 투자금의 소진 속도도 늦추고, 큰 하락 상황까지 대응하기 위한 적정 추가매수의 갭을 찾는 것이 중요한데, 그 갭이 3~5원 정도라고 박 작가는 밝혔다. 그는 “잃지 않는 안전한 투자를 하려면 수익률을 높이는 것보다 위험을 낮추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했다.

일곱 번째 원칙은, ‘장기 투자용 달러(환율이 너무 떨어져 수익실현이 요원해진 달러)는 달러 정기예금에 넣어두거나 미국 월 배당 ETF 등에 투자하라’는 것이다. 달러는 그 자체로 돈이기 때문에 투자 기간 중에 정기예금이나 외환RP 같은 금융상품을 이용해 기회비용을 줄일 수 있다. 금리가 낮다면 미국 월 배당 ETF에 투자하는 동안에도 수익을 추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박성훈 기자 shpark@viva2080.com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구강암

구강암

구강암은 혀나 입술, 볼 안쪽, 잇몸에 생기는 암이다. 주로 40세 이후, 그리고 여성보다 남성에서 더 잘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