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의 원인으로 알려진 과도한 기억을 막는 단백질을 국내 연구팀이 찾아내 주목된다. 단백질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PTSD를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어서 더욱 관심을 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5일 “생명과학과 허원도 교수 연구팀이 ‘PLCβ1’(인산지질 가수분해효소 C 베타1)이 뇌의 기억 형성과 소멸 조절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인간의 뇌는 매일 다양한 경험을 통해 새로운 기억을 만들고 지우는데, 양성 조절 인자가 부족하면 기억을 형성하는데 문제가 생기고 반대로 음성 조절 인자가 손상되면 기억이 과도하게 생성되면서 PTSD와 같은 정신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극심한 공포와 관련된 기억이 제대로 소멸하지 않는 것인데, 카이스트 연구팀이 PLCβ1이 해마에서 기억 억제 인자로 작용해 과도한 기억 형성을 막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카이스트 연구팀에 따르면 PLCβ1을 결핍시킨 실험 쥐는 공포 반응이 증가했지만, 이 단백질을 광유전학으로 활성화하자 공포 반응이 억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번 결과는 빛에 기반한 광유전학 기술을 이용해 PLCβ1 단백질을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PTSD와 같은 정신질환의 원인 규명과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허원도 교수는 “이 단백질에 대한 신호 억제가 다른 뇌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제로 인간에게 적용 가능한지에 대한 임상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면서도 “정신질환 치료에 혁신적인 돌파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KAIST 생명과학과 이진수 박사가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스’(Sciences Advances) 이달 호 인쇄판에 실릴 예정이다.
박성훈 기자 shpark@viva2080.com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