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고령화가 이대로 진행되면 우리나라 인구가 30년 이후 매년 1%씩 줄어 약 100년 뒤에는 2000만 명을 밑으로 떨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6일 통계청이 2022년 인구총조사를 기초로 최근 출생·사망·인구이동 추이를 반영해 전망한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054년 전국 인구는 중위 추계 기준으로 전년 대비 1.03%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인구성장률은 2022년 -0.19%에서 2034년 -0.20%, 2038년 -0.30%, 2041년 -0.42%, 2044년 -0.53% 등으로 점점 감소 폭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2046년에 -0.62%, 2052년 -0.92%에서 2054년에는 1.03%로 감소율이 처음 1%를 넘어서고 이때부터는 매년 인구가 전년 대비 1% 넘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모든 지역에서 출생아 수 대비 사망자 수가 빠르게 늘면서 매년 자연 감소하는 인구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됐다. 경북도의 경우 2022년 출생아 수가 1만 1000명, 사망자 수가 2만 6000명으로 1만 5000명이 자연감소했는데 30년 뒤 2052년에는 출생아 7000명에 사망자 4만 4000명으로 3만 7000명이 감소할 것으로 관측됐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의 무려 6.3배에 달한다는 것이다.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자연증가를 특정 연도 인구로 나눈 자연증가율도 경북이 2022년 -0.57%에서 2052년에는 -1.71%로 가장 큰 감소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경기도의 경우 2022년 출생아 수가 7만 4000명, 사망자 수가 7만 8000명으로 자연감소 규모가 4000명에 그쳤으나 2052년에는 출생아 수가 6만 2000명, 사망자 수가 18만 6000명으로 인구가 12만 4000명 감소하는 것으로 관측됐다. 인구 자연감소 규모가 30년 뒤 31배로 커진다는 얘기다.
합계출산율이 그나마 국내 최고 수준인 세종시도 2022년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출생아 수(3000명)가 사망자 수(2000명)를 웃돌았으나 2045년부터 는 인구가 자연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