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휴대전화 사용료도 채권추심 대상”

이의현 기자 2024-05-27 08:44:41

휴대전화 사용료 등 상행위로 인해 생긴 금전채무도 채권추심 위임 대상이 된다. 또 장기간 채권추심이 없던 대출의 변제 요구 시, 상환 전에 소멸시효가 완성됐는지 확인해야 한다.

금융감독원은 27일 최근 접수·처리된 채권추심 관련 실제 민원사례를 분석해 이 같은 내용의 금융소비자 유의사항을 발표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휴대전화 사용료를 연체한 A씨의 경우 채권추심회사인 B신용정보사가 채권추심을 하자 부당하다며 민원을 제기했다. 금감원은 이에 “정식 채권추심회사는 채권자의 위임을 받아 채무자에게 채권추심이 허용되며, 추심할 수 있는 채권에는 대출 등 금융거래뿐만 아니라 상행위로 발생한 휴대전화 사용료도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채권추심 대상이 되는 채권에는 은행, 저축은행 등 금융회사의 대출금, 신용카드사의 카드매출대금, 전기통신사업자의 통신요금, 매매계약에 의한 물건납품대금, 도급계약에 의한 공사대금, 공급계약에 의한 자재 대금, 운송계약에 의한 운송료 등이 해당한다고 덧붙였다. 

C씨는 10여년 전 여러 곳의 대부업체로에서 신용대출을 받았는데, 그 동안 연락이 없어 잊고 있던 일부 대출에 대해 최근 채권추심을 받고 있다며 정당한 변제요청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민원을 제기했다.

금감원은 “장기 미상환 채무는 소멸시효가 완성되면 상환의무가 없지만, 일부 변제하면 소멸시효가 부활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채무감면을 조건으로 일부 변제를 유도하는 경우 소멸시효 완성 여부를 우선 확인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금융채무 소멸시효는 상법상 5년, 판결 등에 따라 확정된 채권의 소멸시효는 10년 등이다.

금감원은 또 미등록 대부업자로부터 불법 채권추심이나 법정 최고금리 초과 대출을 받은 경우 채무자 대리인 무료 지원 사업 등 구제제도를 적극 활용할 것을 제언했다. 특히 경제 상황이 어려워 현재의 소득으로 채무를 정상적으로 상환할 수 없는 경우, 신용회복위원회 등에서 채무조정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의현 기자 yhlee@viva2080.com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