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바 2080] 퇴직&노후준비 A부터 Z까지 (1)퇴직급여 ① 수령 대상 및 방법
2025-01-20
조기 은퇴 경향이나 고령화 추이를 감안할 때, 은퇴 후 최소 10년 이상은 ‘벌이’가 있어야 한다. 모아놓은 자산까지 종합 관리할 능력도 필수다. 본인·배우자가 생활비를 버는 고령자 비중이 2021년에 이미 65%에 달했지만, 은퇴 후 생활비에 여유가 있다는 고령자가구는 10%를 약간 웃돌 정도다. 여전히 공적연금 의존도가 절대적이라 더욱 걱정이다.
◇ 너무나 부실한 은퇴준비
2020년 현재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는 22% 수준에 이른다. 이것이 2050년에는 49.8%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 인구의 20%가 노인이 되는 초고령화 사회가 코 앞에 다가온 상황에서, 생애자산관리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때다. 장기 불황까지 겹쳐 물가는 오르고 급여 인상은 제한되면서, 노후준비 시기도 지금보다 더 빨라져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에 따르면 직접 생활비를 마련하는 노인 비중은 65% 수준으로, 최근 10년 동안 13.4%p나 높아졌다. 자녀나 친척의 지원을 받는 노인은 17.8%로 21.4%p나 줄었다. 생활비 마련 방법으로는 근로 소득과 사업소득이 48.3%로 가장 많았다. 연금·퇴직금이 35.1%, 재산소득은 10.5%로 처졌다.
65세 이상 노인의 고용률은 2021년 34.9%에 머물고 있다. 2012년의 30.1%에 비해선 높아진 것이지만, 청년 아르바이트 자리까지 꿰찬 결과다. 소득이 필요한 고령자들이 단기 일자리라도 찾아 나서면서 ‘자발적 은퇴’ 시기는 갈수록 늦춰지고 있다. 노후준비가 거의 안된 고령자가 절반이 넘는다는 통계도 있다. 아직 은퇴를 생각하지 않는 은퇴 임박 고령자들조차 월 적정생활비를 243만 원 정도로 생각하지만, 실제 은퇴한 노인들의 생활비는 평균 148만 원에 불과하다. 끝까지 일을 손에서 떼면 안되는 이유다.
부채 문제도 간단치 않다. 지난 정부 기간의 부동산 가격 상승 덕에 표면적으로는 자산 및 재무건전성은 개선된 것으로 보이지만, 금융자산 쪽에서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실제로 65세 이상 고령자의 가구 부채는 2021년 현재 4567만 원으로 전년 대비 2.1% 증가에 그친 반면 금융 부채는 전년 대비 10.1%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이 주택 담보대출이었다. 2020년 1915만 원에서 2021년 2216만 원으로 15.7%나 증가했는데, 이후 가파른 금리 상승 탓에 지금은 원리금 상환 부담이 어깨를 짓 누리는 상황이다.
◇ 지금부터 소득과 지출 관리 제대로 해야
미처 은퇴하지 못하고 있는 고령자들은 지금부터라도 소득과 지출 관리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노후자금을 더 쌓아 두어야 그나마 만약의 사태에 어느 정도라도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단은 허리띠를 졸라 매 지출을 줄여가는 수 밖에 없다. 가성비 좋은 식당을 찾고, 불필요한 외식이나 간식은 건강을 위해서라도 삼가는 것이 좋다. 근로소득을 계속 만들어낼 수 있는 파트타임 일자리를 부단히 찾는 노력도 필요하다.
부동산이 있다면 부동산을 담보로 한 자산 유동화를 통해 부족 자금을 확보하는 방법도 요즘 보편화되고 있다. 주택연금이나 농지연금을 활용하 는 사례가 많다. 집 평수를 줄여가거나 저 가격대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도 방법이다. 마지막 보류인 공적연금의 관리에도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 은퇴 후 소득이 낮을수록 공적연금은 든든한 버팀목이 된다.
맞벌이 부부는 상대적으로 여력이 있을 때 미리 미리 대비해 두는 것이 좋다. 현재 국내에서 맞벌이 가구는 전체 가구의 45~47% 수준으로 알려졌다. 가능한 복수의 일자리를 갖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다. 은퇴 후를 대비해 3040 혹은 4050 맞벌이 부부는 한 계좌로 급여를 모으는 것이 낫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자산관리를 보다 정확히 하는 것이 좋다는 취지에서다. 이른바 ‘파킹(Parking) 통장’을 만들어 부부 공동의 장기적 재무계획을 세워 두라는 얘기다.
가구소득의 50%는 일단 저축하는 것이 좋다. 저축 금액의 30%는 연금에 투자하는 ‘연금 맞벌이’도 권장된다. 퇴직 후에도 여유가 있다면 의무 납입기간인 만 60세까지 국민연금을 납입해 연금 금액을 늘리는 것도 방법이다. 소득이 있는 기간에는 부부가 각각 연금저축과 IRP계좌에 추가납입하면, 국민연금을 받기 전 소득공백기를 메워주는 효과가 있다.
4050이 되면 어느 덧 ‘에듀푸어(edu-poor)’가 될 가능성이 높다. 한창 돈을 모아야 할 나이에 자녀교육비 과다 지출로 이어져 ‘실버푸어(silver-poor)’가 될 수도 있다.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는 1년에 한번 씩 교육비 예산을 미리 정하되 자년 교육비 지출의 상한선을 소득의 10% 정도로 제한 할 것을 권고했다. 또 별도의 사교육비 통장을 만들어, 교육비와 노후자금 비중을 1대1로 균형 맞출 것도 권했다.
◇ 은퇴 후 은퇴자금 인출계획도 미리 미리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는 은퇴 후 자산 관리 및 지출 운용 방안을 미리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가장 먼저 할 일은 기대여명 등을 고려해 자신의 은퇴 기간을 미리 설정하는 것이다. 대체로 은퇴 후 ‘건강 기간’이 남자는 12년, 여자는 12.6년인 점을 고려해, 평균 72세를 전후로 의료비 부담이 많아질 것에 대비해 지출 비용 중 치료비를 감안해 짜 두는 식이다.
재무목표는 각자 우선순위에 맞게 계획하되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이른바 ‘4L 이론’이라고 해서 라이프 스타일(Life Style),장수(Longevity), 유산(Legacy), 유동성(Liquidity) 상황 등을 시점 별로 감안해 지출 수준과 규모, 방법을 모색해 두라고 조언한다.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는 특히 예상치 못한 지출에 대비해 비상자금은 꼭 빼 둘 것을 강조했다.
금융문가들은 은퇴자금 가운데 은퇴 후 초기 인출율이 3~4% 정도면 안정적인 지출 계획으로 평가한다. 여기서 은퇴 자금이라 함은, 금융자산과 부동산자산을 합한 금액이다.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는 지출 자체를 줄이는 노력과 함께 사적연금 같은 보완책을 강구하는 것이 좋은 대안이라고 밝혔다.
◇ 가능한 원금은 건드리지 말아야
은퇴자산의 ‘원금’을 날리는 것은 사실상의 파국을 예고하는 것이다. 원금 인출이 가능한 없도록 하는 것이 최적의 은퇴자금 활용법이다. 따라서 혹시라도 위험자산 비중이 높다면 사전에 조절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은퇴 전에 많이 권장되는 TDF(Target Data Fund)로 대비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가입자가 정한 은퇴일 등 까지 자동으로 자산비중을 조절해 주니, 안정적인 은퇴자산 관리가 가능하다. 정기적으로 현금흐름이 발생하는 다양한 인컴 자산에 투자하는 TIF(Target Income Fund)도 관심을 가질 만 하다. 전세계 다양한 자산에 분산투자할 수 있고 부동산 같은 실물자산 투자도 가능하다.
미래에셋 측은 퇴직연금을 정기운용할 경우 미국이나 영국에서 인기 많은 ‘인출계획서(WPS, Withdrawal Policy Statement)’를 활용해 볼 것을 권한다.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성급한 의사결정을 내리지 않도록 하는 데 도움을 주는 재무 플랜이다. 본인과 배우자의 은퇴 자산, 각자의 은퇴 기간과 공통의 재무 목표, 지출 계획을 적고 물가상승 시 지출 방안까지 사전에 정해 두는 것이다. 위험자산과 안전자산 투자 비중도 사전에 조정해 둠으로써 투자자산의 효과 및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
조진래·이의현 기자 jjr895488@naver.com
댓글
(0) 로그아웃